컴퓨터 저장장치의 발전: 플로피 디스크에서 SSD까지
컴퓨터의 발전은 단순히 처리 속도나 그래픽 성능의 향상뿐만 아니라, **저장장치(Storage Device)**의 발전과도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저장장치는 데이터의 보존과 접근 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컴퓨터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입니다.
오늘날 초고속 SSD(Solid State Drive)에 이르기까지, 저장장치는 어떻게 발전해왔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플로피 디스크부터 SSD까지의 저장장치의 역사와 기술 발전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초기 저장장치의 등장 – 플로피 디스크(FDD)
1) 플로피 디스크의 시작
- 출시 연도: 1971년
- 용량: 초기 80KB → 1.44MB (3.5인치 디스크 기준)
- 개발사: IBM
- 형태: 얇은 자성 디스크를 플라스틱 케이스로 감싼 형태
플로피 디스크는 세계 최초의 이동식 저장장치로, IBM에서 처음 개발했습니다.
당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데 많은 불편함이 따랐습니다.
플로피 디스크는 소형화된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 외부로 데이터를 쉽게 이동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이었습니다.
플로피 디스크의 발전 과정
- 8인치 플로피(1971년) – 80KB 용량으로 대형 컴퓨터에서 사용
- 5.25인치 플로피(1976년) – 360KB에서 1.2MB로 용량 확대, 개인용 컴퓨터(PC)에서 널리 사용
- 3.5인치 플로피(1981년) – 1.44MB 용량으로 발전, 휴대성이 높아지며 2000년대 초반까지 사용됨
한계점
- 데이터 저장 용량이 적고, 디스크 손상에 취약
- 데이터 전송 속도가 매우 느림
2.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의 등장과 발전
1) 하드 디스크의 탄생
- 출시 연도: 1956년 (IBM 305 RAMAC)
- 용량: 5MB → 수십 테라바이트(TB)
- 개발사: IB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는 플로피 디스크보다 훨씬 더 큰 용량을 저장할 수 있는 장치로, 회전하는 금속 플래터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초창기 하드 디스크는 냉장고 크기만 했으며, 5MB의 저장 용량에 불과했지만, 기술 발전에 따라 크기는 작아지고 저장 용량은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하드 디스크의 기술 발전
- 1980년대: PC용 하드 드라이브 등장, 10MB ~ 100MB
- 1990년대: 기가바이트(GB) 단위의 저장장치 보급화
- 2000년대: 테라바이트(TB) 단위의 대용량 저장장치 등장
HDD의 장점
- 대용량 데이터 저장 가능
- 비용 대비 높은 저장 용량
HDD의 한계점
- 기계식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어 충격에 취약하고, 수명이 짧을 수 있음
- 데이터 접근 속도가 느림 (물리적으로 플래터가 회전하며 헤드가 이동하기 때문)
3. 광학 디스크(Optical Disc) – CD, DVD, 블루레이
1) CD(Compact Disc)와 DVD(Digital Versatile Disc)
- CD 용량: 650MB ~ 700MB
- DVD 용량: 4.7GB ~ 17GB (듀얼 레이어 기준)
- 출시 연도: 1982년 (CD), 1996년 (DVD)
- 기술: 레이저를 이용해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 방식
CD는 음악 및 소프트웨어 배포에 사용되었으며, DVD는 영화와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이후 블루레이(Blu-ray)가 등장하며 50GB 이상의 고용량 데이터 저장이 가능해졌습니다.
4. 플래시 메모리와 USB 드라이브
1) USB 플래시 드라이브
- 출시 연도: 2000년대 초반
- 용량: 초기 128MB → 현재 1TB 이상
- 기술: NAND 플래시 메모리 기반
플래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USB 드라이브는 이동성과 속도, 내구성에서 HDD와 플로피 디스크를 능가했습니다.
USB 드라이브의 장점
- 작고 가벼우며,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름
- 기계 부품이 없어 내구성이 뛰어남
5. SSD(Solid State Drive)의 시대
1) SSD의 등장과 발전
- 출시 연도: 2007년 (본격적인 상용화)
- 용량: 128GB → 8TB 이상
- 기술: NAND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해 데이터를 저장
SSD는 기존 HDD와 달리 회전하는 플래터가 없고, 전자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로 인해 속도가 빠르고, 소음이 없으며, 내구성이 높습니다.
SSD의 장점
- 초고속 데이터 처리 (부팅 속도, 프로그램 실행 속도 향상)
- 충격에 강하고 발열이 적음
- 소형화 가능
SSD의 한계점
- 비용이 높음 (하지만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 중)
6. 결론 – 미래의 저장장치는 어디로?
현재 SSD는 저장장치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PCIe 4.0, PCIe 5.0 등 더욱 빠른 속도의 기술들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향후 3D NAND 기술, 비휘발성 메모리(Optane), 클라우드 저장 등 새로운 저장장치가 등장할 것입니다.
플로피 디스크에서 SSD까지의 발전은 컴퓨터 기술의 진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저장장치의 발전은 단순한 기술 발전이 아니라, 우리의 삶을 더욱 편리하고 빠르게 변화시키는 핵심 동력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저장장치발전 #컴퓨터역사 #SSD #HDD #플로피디스크 #기술의발전